인사이트

다양하고 유익한 자료를 한 곳에 모아놓은 곳 입니다.

2023년도 부터 싱가포르에서 달라지는 부분들

인사이트
작성자
이김컨설팅
작성일
2023-01-26 13:36
조회
802

2023년도 부터 싱가포르에서 달라지는 부분들

싱가포르 정부는 2023년부터 여러가지 사항들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는데, 우리 한인들과 한인 기업들에 관계되는 주요 사항들을 점검하고, 앞으로 달라지는 주요한 내용에 대해 안내 드리려고 합니다.

2023년도부터 달라지는 가장 큰 부분은 GST(Goods and Service Tax: 부가가치세)의 인상 및 개인 소득세의 인상, EP 신청 및 갱신에 대한 변경 부분들입니다.

이는 코로나로 인한 싱가포르의 세수 부족을 메우고, 향후 이와 유사한 코로나 등의 위기 상황 발생시에 대응하기 위함이며, 장기적으로는 고령화 시대에 대비하고, 나아가서 싱가포르인의 고용을 늘리고 외국인들의 유입을 억제하려는 정책과, 장기적으로 세수를 높여나가려는 정부 정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2023년부터 적용되는 대표적인 변경 내용
  1. GST의 점진적 증가: 2023년부터 8%의 GST, 2024년 9% GST로 점진적 인상
  2. 기존 온라인 판매시 $400 이하는 면세였으나, 2023년 부터는 8%과세, 2024년 부터는 9% 과세함
  3. 고소득자의 개인소득세 상한선 증가: 기존 최대 22% 에서 최대 24%로 증가
  4. 고령사회의 대비로, 만 55세부터 만 70세까지의 CPF 납부 비율 증가
  5. EP(취업비자)의 점수제도 도입으로 EP갱신이 까다로워 짐



  1. GST의 점진적 증가: 2023년부터 8%의 GST, 2024년 9% GST로 점진적 인상싱가포르 재정부의 발표에 따라 GST 요율이 2023년,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하기와 같이 인상된다.
    gst

    • 2023년 1월 1일부로 7% → 8% 인상
    • 2024년 1월 1일부로 8% → 9% 인상
    따라서 GST 등록 사업체는 Invoicing 및 회계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GST 인상이 미치는 영향을 고객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는 등 다가오는 세율 변경에 적절히 대비해야 한다.

    법인측에서 준비해야하는 사항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 발생되는 모든 상품 또는 서비스 공급에 대해 8%의 GST를 부과해야 한다.
    • Accounting / Invoicing / Sales 시스템 업데이트
    • 홈페이지와 같이 고객이 금액을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 업데이트
    • POS 시스템 업데이트
    • 계약 체결 또는 갱신 전 공급 업체와 GST 요율 확인 및 검토 등
    예를 들어 2023년 1월 1일에 송장을 발행하여 공급에 대한 대금을 받는 경우 GST를 8%로 계산해야 한다.
    구분 내용
    Invoice(청구서) 발급은 2022년 12월 31일 이전,
    서비스 또는 상품의 공급이 2022년 12월 31일 이전의 경우
    Invoice 발행시 GST 7%
    Invoice 발급은 2022년 12월 31일 이전,
    서비스 또는 상품의 공급이 2022년 12월 31일 이후의 경우
    Invoice 발행시 GST 8%
    Invoice 발급은 2022년 12월 31일 이후,
    서비스 또는 상품의 공급이 2022년 12월 31일 이후의 경우
    Invoice 발행시 GST 8%
  2. 온라인 판매 시 금액상관 없이, 2023년 부터는 8%과세, 2024년 부터는 9% 과세함 2023년,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GST인상이 되면서, 우편이나 온라인 판매 시 과거 S$400불 미만의 물건에 대해서는 GST가 부가되지 않았으나, 2023년 1월 1일 부터는 모든 금액에 대해서 GST가 부과된다.
    gst imported good services

    따라서, 현재 Lazada나 Shopee, Qoo10, Amazon 등 해외에서 배송되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해외에서 배송되는 우편 송부 등 모든 판매 물건에 대해서 2023년 부터 GST를 부과하게 되니 물건 가액을 확인하고 송부하길 바란다. 개인간의 송부에 대해서는 $400 미만은 아직 GST를 부가하지는 않는다.
  3. 고소득자의 개인소득세 상한선 증가: 기존 최대 22% 에서 최대 24%로 증가 2023년도 소득에 대해서, 기존 최대세율이 22%에서 24%로 증가되며, 이는 1년 소득 S$50만불 이상 고소득자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기존 S$50만불 미만의 소득자는 과거와 동일하다.

    즉, S$50만불 이상 소득자는 기존 22%에서 23%로 증가되며, S$100만불 이상 소득자에 대해서는 24%가 적용된다.
    chargeable income
  4. 고령사회의 대비로, 만 55세부터 만 70세까지의 CPF 납부 비율 증가싱가포르 CPF 납부 비율 인상 (2023년 1월 1일부터)2023년 1월 1일부터 퇴직 후 노후 대비를 위한 일환으로 만 55세부터 만 70세까지의 시민권자 및 영주권자들의 CPF 납부 비율이 증가된다.

    만 55세부터 60세까지는 기존 28%(고용주 14%, 고용인14%) 납부 비율에서 29.5%(고용주 14.5%, 고용인 15%)로 증가되며, 만 60세 이상부터 65세까지는 기존 18.5%(고용주 10%, 고용인 8.5%)에서 20.5%(고용주 11%, 고용인 9.5%)로, 만 65세부터 70세까지는 기존 14%(고용주 8%, 고용인 6%)에서 15.5%(고용주 8.5%, 고용인 7%)로 변경된다.

    변동된 CPF 납부 비율

    202311일부터 시행되는 인상율 표
    employee age

    다만 영주권자 중에서 영주권 취득 기간이 3년 미만일 경우 변동없이 이전과 동일한 비율로 CPF 납부함.
  5. EP(취업비자)의 점수제도 도입으로 EP갱신이 까다로워 짐싱가포르는 2023년 9월부터 신규 EP를 신청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상호보완성 평가 프레임워크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EP 갱신의 경우 2024년 9월 1일부터 적용)이는 EP비자 신청 절차를 더 명확하고 투명하게 만들 것이며 다양한 고급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평가 기준이라고 덧붙였다.

    평가 기준은 4가지 부문으로 최대 각 20점씩 배점되며 추가 2가지 항목의 보너스 부문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총점 40점이상은 신규 EP비자 신청이 가능하며, 미달인 경우 EP는 거절된다.

    기본 4가지 부문 (각 20점)
    1. 지원자의 연봉: 같은 Sector의 PMET에 비교한 상대평가
    2. 지원자의 자격요건 (학력/학벌): Top-Tier Institution vs. 4년제 학위 vs. 자격요건 안됨
    3. 회사의 인재 다양성: 회사의 PMET 중 같은 국적의 사람 비중에 따른 점수
    4. 회사의 현지인 채용: 같은 Subsector와 비교한 현지인 채용 비중 상대평가
      (단, 종업원 25인 미만의 회사는 기본 10점으로 배점)
    보너스 2가지 부문
    1. Skill Bonus: 싱가포르 정부에서 발표하는 ‘부족한 직무/직업’에 해당하는 업무를 위해 채용하는 인재의 경우 보너스 최대 20점
    2. Strategic Economic Priorities Bonus: 싱가포르 정부에서 평가 시스템 제공할 예정으로 혁신과 국제적 방향성을 갖고 싱가포르 현지 노동시장과 환경을 발전시킬 수 있는 회사들에 한해 보너스 최대 10점
    취업비자 종류 기존 신규 (2022년 9월 적용)
    EP
    (Employment Pass)
    - SGD 4,500
    - 금융 서비스 업종 : SGD 5,000
    - SGD 4,500
    - 금융 서비스 업종 : SGD 5,000
    SP
    (S Pass)
    - SGD 2,500
    - 금융 서비스 업종 : 기준 없음
    - SGD 3,000
    - 금융 서비스 업종 : SGD 3,500
    기존의 EP와 SP비자를 갱신하는 경우, 고용주가 변경 사항에 충분히 적응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해당 최소 급여 기준 인상을 2023년 9월부터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더불어 SP비자 소지자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Tier 1그룹에 대한 고용세를 현재 300싱달러에서 2025년까지 650싱달러로 점진적으로 인상할 것이라 밝혔다.

    한편 기업 관계자는 해당 최소 급여 기준 인상으로 기업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복구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현지 직원을 재교육하여 강력한 현지 인력을 계속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이메일 또는 전화로 문의 주시면 무료로 상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상 끝.

출처: 싱가포르 한인회 - 한누리 2023년 봄호 통산(206호)

Hannuri Vol.206 2023_website-cut
https://bit.ly/3Hv0Z7o

러-우크라이나 사태, 미-중 경쟁 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2023년 싱가포르 경제성장률은 0.5~2.5%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월 14일 싱가포르의 Lawrence Wong 부총리 및 재무장관은 ① 사회안전망 확대, ② 지속가능한 성장, ③ 회복 탄력적인 사회(Resilient Society)를 목표로 하는 2023년 예산안(Budget 2023)을 발표하며 싱가포르 경제 및 사회 내실 다지기에 나섰다. 올해 싱가포르는 코로나19 제한 조치가 전면 완화됨에 따라 코로나 관련 정부 지원금을 축소할 예정이다. 가령 4월 1일부터 코로나19로 인한 치료비는 일부만 지원되며 코로나19 검사비 또한 유료로 전환된다. 다만, 2023년에는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의 생계비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세수 확보를 위해 2023년 1월 1일부 GST(부가세)를 전년 7%에서 8%로 인상한 바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저소득층, 노인, 신혼부부 등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여러 생계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생산성 제고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2023년 국가생산성 펀드(National Productivity Fund)의 투자 유치 기능을 강화하고 외국인 장기 비자(Overseas Networks and Expertise, ONE) 제도를 도입하였다. 2022년에 사회경쟁력 향상을 위해 시행했던 조치들에서 더 나아가 2023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해외 자본을 유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수 확보를 위한 노력은 지속될 예정이다. 올해 싱가포르는 럭셔리 주택에 대한 인지세, 럭셔리 자동차에 대한 등록비 등 간접세를 인상하며 재정 적자를 완화하고 지속가능한 재정 상태를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싱가포르 FY 2022 재정 현황 돌아보기 주: FY 2022는 싱가포르의...
인사이트 이김컨설팅 2023.03.09 추천 0 조회 423
2023년도 부터 싱가포르에서 달라지는 부분들 싱가포르 정부는 2023년부터 여러가지 사항들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는데, 우리 한인들과 한인 기업들에 관계되는 주요 사항들을 점검하고, 앞으로 달라지는 주요한 내용에 대해 안내 드리려고 합니다. 2023년도부터 달라지는 가장 큰 부분은 GST(Goods and Service Tax: 부가가치세)의 인상 및 개인 소득세의 인상, EP 신청 및 갱신에 대한 변경 부분들입니다. 이는 코로나로 인한 싱가포르의 세수 부족을 메우고, 향후 이와 유사한 코로나 등의 위기 상황 발생시에 대응하기 위함이며, 장기적으로는 고령화 시대에 대비하고, 나아가서 싱가포르인의 고용을 늘리고 외국인들의 유입을 억제하려는 정책과, 장기적으로 세수를 높여나가려는 정부 정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2023년부터 적용되는 대표적인 변경 내용 GST의 점진적 증가: 2023년부터 8%의 GST, 2024년 9% GST로 점진적 인상 기존 온라인 판매시 $400 이하는 면세였으나, 2023년 부터는 8%과세, 2024년 부터는 9% 과세함 고소득자의 개인소득세 상한선 증가: 기존 최대 22% 에서 최대 24%로 증가 고령사회의 대비로, 만 55세부터 만 70세까지의 CPF 납부 비율 증가 EP(취업비자)의 점수제도 도입으로 EP갱신이 까다로워 짐 GST의 점진적 증가: 2023년부터 8%의 GST, 2024년 9% GST로 점진적 인상싱가포르 재정부의 발표에 따라 GST 요율이 2023년,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하기와 같이 인상된다. 2023년 1월 1일부로 7% → 8% 인상 2024년 1월 1일부로 8% → 9% 인상 따라서 GST 등록 사업체는 Invoicing 및 회계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GST 인상이 미치는 영향을 고객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는 등 다가오는 세율...
인사이트 이김컨설팅 2023.01.26 추천 0 조회 802
1980년대 ‘한강의 기적’을 이룩한 한국은 싱가포르, 홍콩, 대만 등과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며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약 40여년이 지난 지금, 네 마리 용의 성적표는 뚜렷하게 갈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만은 2000년대 이후 성장 둔화를 겪으며 경쟁에서 뒤처지기 시작했고, 지난 몇년간 정치적 불안정을 경험한 홍콩은 아시아 금융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잃어가고 있다. 반면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금융·산업 허브로서 눈부신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작은 국토에 자원도 부족한 싱가포르가 꾸준히 발전하며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에도 새롭게 도약하고 있는 이유는 뭘까. 이코노미조선이 그 비결을 들여다봤다. [편집자 주] [caption id="attachment_7766" align="aligncenter" width="650"] 이영상 이김컨설팅 대표 경북대 공과대 전자공학, 미국 카네기멜런대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 연세대 경영대학원 경영정보학 석사, 현 싱가포르 한인회 부회장,전 삼성물산 IT사업개발팀장 사진 이김컨설팅[/caption] 전 세계에서 가장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나라는 어디일까. 어느 한 나라만을 딱 집을 순 없지만, 싱가포르는 친기업 정책을 펼치는 대표적인 나라로 꼽힌다. 싱가포르에서는 1~2영업일이면 법인을 설립할 수 있다. 자본금은 1싱가포르달러(약 900원)를 넘기만 하면 요건이 충족된다. 대부분의 국가와 이중과세방지 조약(DTA), 세금 감면 협정 등을 체결한 덕분에 싱가포르에서 다른 국가로의 진출도 용이하다. 이러한 정책을 배경으로 싱가포르는 2020년까지 세계은행(World Bank)이 발표한 ‘기업 환경 평가’에서 최상위권을 유지해왔다. 정부 정책이 기업 투자에 얼마나 매력적으로 작용하는지 비교한 해당 평가에서 2006년부터 10년간 1위를 차지했고, 2019년까지도 2위 밖을 벗어나지 않았다.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산하 경제연구소인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닛(EIU)이 발표한...
인사이트 이김컨설팅 2023.01.11 추천 0 조회 1019
Index 싱가포르 법인 설립 장점 싱가포르 법인 설립 필요 사항 싱가포르 경제 동향 싱가포르 법인 설립 장점 저렴한 법인세율 : 17% (신규법인 – 설립 후 3년까지) 법인 순이익 기준 실질 세율 최초 SGD 10만의 순이익은 75% 공제 4.25% 추가 SGD 10만의 순이익은 50% 공제 8.50% SGD 20만 초과분 부터는 공제 없음 17.00% (기존법인 – 설립 3년 이후) 법인 순이익 기준 실질 세율 최초 SGD 1만의 순이익은 75% 공제 4.25% 추가 SGD 19만의 순이익은 50% 공제 8.50% SGD 20만 초과분 부터는 공제 없음 17.00% ** 단, 개인 지분율이 10% 이상인 법인에 한함 폭넓은 경비 인정 범위 - 해외 경비, 접대비 등 모두 인정이 가능하며 한도 제한이 없음 - 단, 개인차량 유지비용, 차량 관비리와 의료비용은 비용이 인정되지 않음 법인 청산 시, 법적 책임 제한 - 법인은 영업상의 문제로 회사가 빚을 갚지 못해 파산하더라도 이사와 주주에게 제한적 책임(투자금 손실)만 있고 개인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음 - 단, 정부와 관련된 것이나, 불법적인 일, 세금 납부, 회계 보고 등은 현지 이사가 책임을 져야함 싱가포르 법인 설립 필요 사항 법인 설립 필요 서류 필요 서류 공 통 1. 회사명 2-3 가지 2. 사업 목적 최대 2가지 선택 가능 3. 자본금 최소 자본금 1불 4. 법인 주소 당사 대행 가능 5. 이사 및 주주 정보 여권 거주지 증빙...
인사이트 이김컨설팅 2022.12.12 추천 0 조회 1138
싱가포르 한인회는 이주, 귀국 시 꼭 필요한 비자 법률 강좌를 7월 28일 Zoom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오랜 해외 생활을 정리하고, 영주권 등을 포기하고, 귀국 시 CPF, HDB, 부동산 등의 처분 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신청자가 많이 몰리면서 대면행사에서 온라인Zoom으로 변경되었으며 참석자분들의 다양한 질문과 이김컨설팅 이영상 대표의 현실적인 답변들로 알찬 강연이 진행되었습니다. ▶ 영주권 포기 시 고려사항 한국으로 귀국 시 싱가포르 영주권(Singapore PR)을 포기해야 하는지? 한국 귀국 즉시 영주권을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본인의 노후 계획에 따라 포기 또는 유지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차후에 영주권을 안정적으로 갱신하고 싶은 분들은 당연히 싱가포르에서 거주하시는 것이 좋겠지만, 비거주자 중에도 갱신된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비거주 PR 자가 영주권을 갱신한 사례는 CPF를 꾸준히 납부하고 소득세 신고를 매년 하셨기 때문입니다. 노후 계획에 따라 CPF 일괄 환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영주권을 포기해야 합니다. PR이 취소되면 CPF 원금과 그에 대한 복리이자 등을 더하여, 일괄 환급 됩니다. 대부분의 한국 분들은 영주권을 유지하는 편입니다. 영주권이 있으면 후에 싱가포르로 돌아올 때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영주권이 자연스럽게 만료되기 전까지는 유지하는 편입니다.   영주권 유지 및 갱신을 희망하는 경우 CPF를 계속 납부해야합니다. 싱가포르를 떠난 후, 많은 분이 이용하는 CPF 납부 방법은 본인이 싱가포르에 직접 회사를 만들어서 사업을 하면서 CPF를 납부하는 것입니다. CPF를 내면서 싱가포르에 거주하지 않은 경우 ICA(싱가포르이민국)에 갱신 어필을 하면 5년이 아닌 1년 갱신해줍니다. 그...
인사이트 이김컨설팅 2022.12.08 추천 0 조회 1068
싱가포르가 홍콩을 제치고 아시아 최고의 금융 중심지로 선정되었습니다. 최근 발표된 2022 글로벌 금융센터지수(GFCI)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이전 조사보다 3 계단 상승한 세계 3위에 올랐습니다. 이전까지 3위를 지켰던 홍콩을 제치고 아시아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동안 홍콩은 아시아 최고의 금융허브 위치를 놓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홍콩 보안법 실시로 자유로운 기업 환경이 훼손되어 글로벌 금융 기업들이 홍콩을 떠나 싱가포르에 둥지를 틀고 있습니다. 더욱이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입출국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도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싱가포르는 글로벌 금융 기업들이 모이면서 명실상부한 아시아 최고 금융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번 지수에서 세계 최고 금융 중심지는 변함없이 뉴욕과 런던으로 꼽혔습니다. 싱가포르, 홍콩 다음으로는 샌프란시스코, 상하이, 로스앤젤레스, 베이징, 선전, 파리 순으로 금융 허브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서울은 파리에 이어 11위에 올랐으며 시드니는 13위, 도쿄는 16위에 위치했습니다. 두바이는 17위로 중동 지역에서 가장 금융이 발달한 도시로 꼽혔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결과로 모스크바의 경우 22계단 하락한 73위, 상트페테르부르크는 17계단 하락한 114위로 떨어졌습니다.   2022 글로벌 금융센터지수 (출처: Z/Yen 파트너스) / 한국촌 https://www.humanresourcesonline.net/singapore-outperforms-hong-kong-in-top-three-of-the-global-financial-centres-index
인사이트 이김컨설팅 2022.09.24 추천 0 조회 3771
상품명: 유아동 의류 및 그 부속품 (HS코드: 620920)   시장동향 및 개요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싱가포르 유아동 의류 시장의 예상 성장률은 2022년 전년대비 7.92%, 2023년 역시 7%대로 계속하여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편 2021년 전체 의류 시장은 12.64% 성장률을 보인데 반해, 유아동복은 16.73%의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1년에는 코로나로 인한 외부 활동 제한이 완화되고 예방 접종률이 높아짐에 따라 자녀를 대동한 부모들의 외부활동 빈도가 높아졌다. 이는 아이들의 여가 및 사교 활동을 위한 부모 소비층의 아동복 구매로 이어졌다고 유로모니터에서는 분석했다. 유아용 의류 특성상 성인의류보다 교체주기가 빠르다는 점도 아동복 소비 규모 확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싱가포르 유아동복 시장규모> (단위: 백만 싱가포르 달러, %)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시장규모 성장률 시장규모 성장률 시장규모 성장률 시장규모 성장률 306.7 -0.13 306.3 -0.13 233.7 -23.7 272.8 16.73 [자료: Euromonitor] <싱가포르 유아동복 카테고리별 2021년 판매액> (단위: 백만 싱가포르 달러, %) 카테고리 판매액 성장률 영유아 39.1 15.9 남아 아동복 94.6 16.5 여아 아동복 139.1 17.1 [자료: Euromonitor] 유아동 의류의 판매액은 2021년 기준으로 전년대비 16.73% 증가한 약 2억7300만 싱가포르 달러이다. 그 중 여아 의류는 2021년 가장 실적이 좋은 품목군으로 소매 판매액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1억3900만 싱가포르 달러로 집계되었다. 싱가포르 유아동 의류시장은 소비층인 부모와 가족구성을 통해서 해석해볼 수 있다. 싱가포르 가족 구성은 일반적으로 맞벌이와 적은 수의 자녀를 갖는 특징이 있다. 싱가포르 통계 사이트인...
인사이트 이김컨설팅 2022.09.09 추천 0 조회 2850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릴 만큼 글로벌 스타트업 및 이노베이션 테스트 베드 생태계가 잘 갖춰져 있다. 매년 IMD(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에서 발표하는 ‘세계경쟁력지수’에서 싱가포르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Top 5에 들었으며, 2021년에는 전 세계 경제성장률 1위 국가로 선정되었다[1].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의 중심지로, 자본·인재·파트너 네트워크가 집중돼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확보할 수 있는 허브로 인식되고 있다. 싱가포르 스타트업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 Top 3 이처럼 싱가포르는 아시아 최고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실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2021년 10월 싱가포르 스타트업 생태계 관련 대표적인 협회인 ACE(Action Community for Entrepreneurship)와 컨설팅사 PwC(PricewaterhouseCoopers Singapore)의 Venture Hub이 공동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참가한 기업들의 응답을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펀딩 부족”을 스타트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고 응답했으며 “전문 인재 공급의 부족”, “높은 국내외 시장 진입장벽”이 각각 2, 3위를 기록했다. <싱가포르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겪는 애로사항은?> [자료: ACE][2] #1: 펀딩 부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응답 싱가포르 이노베이션 정책 컨설팅 및 연구소 Startup Genome의 조사에 의하면, 싱가포르는 글로벌 펀딩 생태계 부문에서 세계 10위를 기록했다[3]. 또한 싱가포르에는 220개사가 넘는 투자사와 약 200개사의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 관련 활동을 하고 있으며, 튼튼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기반으로 시드 & 시리즈A 펀딩 단계에서 글로벌 평균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 스타트업 생태계 시장가치 및 펀딩 통계> [자료: Startup Genome][3] 이처럼 싱가포르는 우수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구축해왔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투자 유치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ACE와 PwC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싱가포르 스타트업 창업자들을 보조금 조건과 펀딩 조건을 맞추는 것이 쉽지 않다고 답변하였다. 일부 보조금의 경우 정산 후에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설계돼 있기 때문에 많은 재원 투입이 필요한 초기 사업...
이김컨설팅 2022.07.25 추천 0 조회 3268
이김컨설팅 2022.07.01 추천 0 조회 2149
출처 코트라: https://bit.ly/3Gf6pRv 화장품 시장 규모 및 구성 화장품 시장 규모   싱가포르의 화장품 수요는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도에는 싱가포르 정부의 록다운(Circuit Breaker)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1년부터는 정부의 방역지침 등이 완화되면서 수요가 증가세를 보였다.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회사인 Statista에 따르면 싱가포르에는 뷰티 및 생활용품을 수입이나 제조하는 회사가 70개 이상 있다. 싱가포르의 화장품 시장 매출은 2022년 1억8,690만 미국달러에 달할 예정이며 전년대비 16.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은 연평균 3.21% 성장(CAGR 2022-2026)할 것으로 예상되며 매출은 2025년까지 1억9,900만 미국달러 가량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 수익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 Statista] 소비자 선호도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매년 최대 20개의 새로운 브랜드가 싱가포르의 뷰티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2018년에는 싱가포르 뷰티 스토어인 세포라(Sephora)에만 10개의 새로운 뷰티 브랜드가 입점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더 다양한 제품 선택권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소비자들이 여러 신제품을 접하기 쉬워질수록 싱가포르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도에도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실제로 Statista에서 발표한 2020년 싱가포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43%가 저렴한 브랜드로 바꾸는 것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온라인에서 넓은 선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58.6%의 응답자가 온라인에서 찾은 다른 브랜드로 바꾸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들은 보다 뛰어난 제품, 보다 스마트한 마케팅, 보다 매력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싱가포르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한편 컨설팅 회사인 GPC사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화장품과 생활용품에 대한 국가별 1인당 지출(per...
이김컨설팅 2022.05.24 추천 0 조회 1868
<목차> Ⅰ. 시장평가 및 주요 이슈 ··············································································································3 1. 개요·································································································································3 가. 시장 전망 ··················································································································3 나. 주요 경제지표 ············································································································3 2. 2021년 주요 이슈 및 전망 ····································································································4 가. 코로나19 경제침체 및 회복노력 ····················································································4 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 ························································································5 다. 미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노력 ···················································································6 라. 미-중 갈등 심화 속 싱가포르 경제 ·················································································7 Ⅱ. 비즈니스 환경 분석·················································································································9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9 2. 시장 분석··························································································································14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교두보 ····················································14 나. 수출 ·························································································································15 다. 투자 ·························································································································17 라. 해외 취업 ·················································································································19 3. 한국과의 경제교류 및 주요 경제협력 의제 ················································································22 가. 교역 ·························································································································22 나. 투자 ·························································································································23 다. 주요 경제협력 의제 ·····································································································24 Ⅲ. 진출전략································································································································26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6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27 3. 한-싱가포르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33 첨 부 1. 수출유망품목(상품)········································································································37 2. 수출유망품목(서비스) ····································································································40 3. 2021년도 KOTRA 주요 사업(잠정) ····················································································42 4. 2021년도 주요 정치・경제 일정 및 유망 전시회 캘린더 ···························································43 부 록 대(對) 싱가포르 K패키지·····································································································44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2021 싱가포르 진출전략
이김컨설팅 2022.03.01 추천 0 조회 2909
▣ 탄력 임금 제도(Flexible Wage System) 탄력 임금 제도(FWS)란? 기업이 변화하는 비즈니스 상황 속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민첩하고 경쟁력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상당한 가변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비즈니스 침체 시 임금 비용을 줄이고 회사가 회복되었을 때 직원에게 보상하기 위해 임금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월별 가변 구성 요소 (Monthly Variable Component) MVC는 일부 고용주가 경기 침체중에 지출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측정값입니다. 이는 직원 급여의 일부를 표준 고용 소득에서 MVC로 재분류합니다. 사업 불황 시 직원 급여/임금의 MVC부분 감소는 사업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은 언제 MVC/AVC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조정/복원될지 정확한 가이드 라인을 만들어야 합니다. * BASIC MONTHLY SALARY = MVC(monthly variable component) / MFC(monthly fixed component) 이는 초과 근무 수당, CPF기부금, AWS 및 보너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간 가변 구성 요소 Annual Variable Component AVC는 회사의 연간 실적과 직접 연결되며 다양한 운영 및 재무 성과와 직접적으로 관련됩니다. 가변 구성 요소의 유형으로는, 가변 보너스 생산성 또는 목표에 대해 직원에게 보상하는 지불하며 보통 회사의 회계 연도 말에 발행됨 기타 변동 지급 직원에게 단기 목표에 대한 기여를 월별 또는 분기별로 보상하는 금전적 인센티브 (예: 신제품 출시, 프로젝트 완료, 운영 개선) 연간 임금 보조(AWS)또는 13개월 보너스 일반적으로 연말에 제공되는 단일 연간 지불/회계 연도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1029-fws-online-guidebook
admin 2022.02.28 추천 0 조회 2949
이김컨설팅 2022.02.28 추천 0 조회 2875
▣ PR등록 후 FIN 업데이트 목록 영주권 승인 후 FIN 번호 및 싱패스 수정 사항 안내드립니다. 최근 새로 업데이트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대부분은 자동으로 정부에서 FIN에서 PR로 변경이 됩니다. 몇 가지 직접 업데이트하셔야 할 목록이 있어 하기에 내용을 참고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Sing Pass 신규 발급 기존 FIN 번호로 동작하는 Sing Pass를 신규 PR을 받으신 후 핸드폰 번호 Update하시고, 이를 기준으로 PR로 NRIC변경하여 앱에 넣어주세요. 대략 몇달간(약 1~2달 사이)은 기존의 FIN 번호로도 로그인이 되고, NRIC로도 둘다 로그인 됩니다. 특히, IRAS는 my Tax portal로 신규 NRIC로 들어가셔서 기존의 FIN 번호로 받은 Message 함의 내용을 모두 신규 NRIC로 연결해 달라고 요청하셔야만 합니다. My Tax portal 가셔서, Help 쪽에 가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Trace Together (코로나로 인하여 QR Code 를 찍고 입장해야 합니다.) PR을 받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어느순간 갑자기 Trace Together 가 동작하지 않고 입장을 못하게 되는 때가 옵니다. 이 경우 앱스토어 가셔서 Trace Together를 핸드폰에서 모두 삭제하신 뒤 새로 설치하시면서 NRIC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특히, Notarize.gov.sg 에 가셔서 기존의 FIN 번호로 백신접종 증명서를 다운로드 받아 두시고(보관용), 신규로 NRIC로 로그인 하셔서 백신 접종 증명서(PR 이전 된 후에 약 2주 후에 가능)를 다운로드 받아 프린트해서 들고다녀야 할 수도 있으니,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LTA (자동차 소유시) https://onemotoring.lta.gov.sg/content/dam/onemotoring/Forms/M19.pdf 위 Form을 다운로드 받아서 서명하신 후, 이메일로 보내시면...
admin 2022.02.14 추천 0 조회 3462
싱가포르의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 정책 발표 2021/12/22 기준   2021년 12월 16일부터 부동산 구매시 외국인이 납부하는 ADSD(추가 취득세 - Additional Buyer's Stamp Duty)가 10%씩 추가 인상되었습니다. 싱가포르 부동산 정책의 놀라운 점 중에 하나가 갑작스럽게 다음날부터 시작되는 시행령이 발표된다는 점입니다. 2018년 7월 5일 ABSD 인상 발표때는 오후 5시에 발표하고, 7월 6일부터 시행해서 구매자와 판매자들의 마지막 협상을 허용했지만 이번 발표는 거의 자정 무렵에 발표가 되어서 그동안 구매를 예상하던 구매자가 손쓸 시간도 없도록 진행해 버렸습니다 특히, 외국인으로 구매를 고려하던 분들은 구매가격의 10% 세금을 추가로 내야 하므로, 당분간 외국인 콘도 구매건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의 이번 발표는 최근 코로나 사태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 콘도 가격이 2020년부터 평균 9% 가량 상승했고 HDB Resale 가격도 15% 가량 올랐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의 상승폭이 가구당 수입과 같은 경제적 지불능력과 비교했을 때 너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이번 발표 내용중 다른 조치로는 TDSR(Total Debt Servicing Ratio - 가계의 소득 수준에 따른 대출)의 하향조정입니다. 이전에는 본인 소득의 60%까지 대출금을 갚는데 사용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소득의 최대 55% 만 허용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월 급여가 $10,000일 경우, 이전에는 $6,000까지 대출금과 원금을 갚는데 사용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최대 $5,500까지만 원금+이자 상환이 가능하므로, 구매할 주택의 대출한도가 제한됩니다. 즉, 월급을 받는 구매자가 이전에는 S$2백만의 주택 매입 시 은행대출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최대 S$180만 까지의...
이김컨설팅 2021.12.27 추천 1 조회 3341
싱가포르-라이온 시티는 사자가 아니라 호랑이를 보고 지어진 이름이라고 들어보신 적 있습니까? 이게 웬 뚱딴지같은 소리냐고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싱가포르에 오래 사신 분들도 잘 모르는 싱가포르의 재미있는 이모저모를 적어봤습니다. 1. 섬나라 싱가포르는 하나의 섬이 아니라 63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본섬이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본섬을 중심으로 하여 62개나 되는 근해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모를 수도 있습니다. 그중에는 센토사섬(외부 62개 섬 중 가장 큰 섬인 센토사), 풀라우우빈섬, 세인트존스섬 및 시스터즈섬이 있습니다. 2. 싱가포르의 나이트 사파리(Night Safari) 세계 최초의 야간 동물원입니다! 1994년에 개장한 싱가포르의 나이트 사파리는 방문객들에게 세계 최초로 개장한 독특한 야간 투어 경험을 제공한 야간 동물원입니다. 밤이 되면 35헥타르의 자연환경에 1,000마리 이상의 동물을 모여듭니다. 어둠이 다가오면 방문객들은 멸종 위기에 처한 아시아 코끼리, 테이퍼와 말레이호랑이 그리고 토종 동물 등 130여 종의 동물 2,500여 마리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3. 싱가포르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실내 폭포가 건설되었습니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실내 폭포! Wildlife Reserves Singapore(Wildlife Reserves Singapore)의 기록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1971년 Jurong Bird Park에 최초의 인공 폭포를 건설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든스 바이 베이(Gardens by the Bay)와 클라우드 포레스트(Cloud Forest)에 위치한 싱가포르에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실내 폭포(35m)도 볼 수 건설했습니다. 구름으로 가득 찬 대형 식물 냉장실로서 열대 고지대 식물 재배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거대하게 우뚝 솟은 인공 폭포는 고원 식물의 성장에...
이김컨설팅 2021.12.02 추천 3 조회 4569
최근 싱가포르 정부는 일련의 비즈니스 친화성을 갖춘 정책으로 전 세계 기업자들을 끌어드려 비즈니스 하기 좋은 나라로 뽑혀왔습니다. 기업가들이 가족들과 함께 오시면 싱가포르에서 창업하는 동시에 자녀에게도 이중언어로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해줄 수 있는 안전한 나라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매년 수천 명의 국내외 기업가와 기업이 이곳을 비즈니스의 새로운 터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좋은 평판은 흔적이 없이 허공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여러 나라 전문가들이 조사하여 나온 결과입니다.   그럼 싱가포르의 일부 세계 순위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1. 교육 EDUCATION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가 발표한 전 세계 포괄적 교육 순위(Comprehensive education ranking)에서 싱가포르가 1위에 올랐습니다. 이 랭킹에서 1위부터 5위까지는 아시아 국가들이 차지하였습니다. 영국계 교육 컨설팅 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에서 최근 발표한 학과별 세계 대학 랭킹에서 싱가포르 국립대(NUS)는 세계 상위 10개 학과에 9개가 진입했으며, 난양공대(NTU)는 5개 학과가 진입했습니다.   2. 비즈니스 친화성 BUSINESS FRIENDLINESS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10년 연속으로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사업하기 좋은 나라로 선정되었습니다.   3. 개방형 경제 OPEN ECONOMY 이코노미스트는 7년 연속으로 싱가포르를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개방적인 경제"로 선정했습니다.   4. 삶의 질 QUALITY OF LIFE Mercer의 삶의 질 세계 도시 순위 설문조사에서 싱가포르는 수십 년간 지속해서 아시아 최고의 도시 10위 이내로 뽑혔습니다.   5. 부패 CORRUPTION Transparency International은 싱가포르를 부패율이 낮은 10대 국가로 지속해서 선정했습니다.   6. IP...
leekim 2021.11.30 추천 1 조회 4551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는 싱가포르는 글로벌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으로 최첨단 통신 시설과 도로 교통 시스템을 갖추었습니다. 인종차별이 없는 화목한 다 민족의 나라로서 다국어 지원은 전 세계의 많은 대기업이 고객 서비스 센터 혹은 금융 본부를 싱가포르로 선택하는 이유 중 하나로 되기도 합니다. 아울러 안정된 정치, 간단한 법인설립 절차, 특별히 저렴한 세금 제도는 용기와 능력을 갖춘 기업가에게 창업을 할 수 있는 우월한 조건을 마련하여 드립니다. 세계은행 및 세계 경제 포럼과 같은 최고 기관의 주요 순위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회사를 설립하거나 신규 사업을 시작하기가 가장 쉬운 나라,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경제체계 중 하나로 지속해서 선정되었습니다. 싱가포르에서 사업하는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비즈니스 수행 용이성 (비즈니스 하기 가장 좋은 나라) * World Bank의 Doing Business 2019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뉴질랜드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Business 하기 좋은 국가로 선정되었습니다. 법인 설립 소요 기간: 1~2영업일, 이사 및 주주 변경 소요 기간: 1~2영업일 법임 설립 조건: 자본금 S$1, 외국인 100% 지분 및 다양한 통화 사용 가능 대부분의 국가와 DTA¹ 및 세금 감면 협정 및 FTA 자본 및 통화에 대해 컨트롤하지 않음 (해외송금 자유, 신고사항 없음) 싱가포르는 외국인 기업 소유에 대한 제한이 없이 이익의 본국 송환과 자본 수입은 자유롭게 허용됨. 주주 및 이사의 책임이 회사에 한정되며, 단독 주주 배임 이슈 없음 영국법을 기초로 소송...
이김컨설팅 2021.11.25 추천 2 조회 4652